Comment
금일 오전 한국은행이 금리안하를 단행했습니다.
사상 첫 1%대 금리에 진입했습니다.
미국이 유례없는 유동성 잔치를 통해,
그토록 위태롭던 경제를 정상적으로 되돌려놓은 완변한 사례가 있어서 일까..
이제 유럽, 중국, 일본 등 많은 국가들이 미국이 했던 것처럼,
돈풀기에 몰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은 5년넘게 굳건히 걸어잠그고 있던 금리를 지난 11월에 이어
3개월만인 2월말에 인하했습니다.
유럽 역시 금리인하, LTRO에 이어 직접 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의
강도높은 부양책을 쓰고 있습니다.
일본은 아베노믹스를 통한 막장 부양책의 끝이 무엇인지...
국가경제를 놓고, 새로운 실험을 양상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계부채 운운하면서 우리만 보수적인 경제정책을 유지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의 경제정책은 부동산 거래 활성화 --> 부동산 가격 상승 유도 --> 내수 소비 회복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습니다.
가계부채에 따른 소비위축도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극복하겠다는 계산이 깔려있습니다.
현재의 부동산 정책과 시너지 효과가 분명 크게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단 기사 첨부합니다. 한번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출처 : [나는 주식이다] 리서치 / 직접작성
(상단 링크 참고)
'"세계를 읽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왜 중국시장인가? (0) | 2015.07.03 |
---|---|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라 2. (0) | 2015.06.30 |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라. (0) | 2015.06.29 |
부자로 가는 길에는 사람이 적다. (0) | 2015.06.29 |
월가 격언 #2 (0) | 2015.03.12 |